명시감상 - 스승의 날

스스로를 꾸짖으며[自責] - 이색(李穡 )
인정은 제 스스로 다해야 하고
공론도 마음속에 둬야 하는데
잦은 청탁 무례란 걸 잘 알면서도
정말 약고 어리석게 은혜를 팔아
작은 공에 벼슬을 사양 안 하고
얕은 학문 스승이 감히 됐으니
스스로를 꾸짖는 말 자리에 새겨
언제나 날 살피는 요점 삼으리
人情須自盡 인정수자진
公論亦當思 공론역당사
踰禮頻干謁 유례빈간알
市恩眞黠癡 시은진힐치
功微不辭爵 공미불사작
學淺敢爲師 학천감위사
自責銘諸坐 자책명저좌
時時要省私 시시요성사
- 이색(李穡 : 1328~1396), 『목은시고(牧隱詩藁)』 제16권. <스스로를 꾸짖으며[自責]>
이맘때만 되면 학교는 참 분주하다. 벚꽃의 꽃말이라고도 하는 중간고사가 끝나고 신록 짙푸른 계절의 여왕 5월을 만났으니 20대 초반의 젊은 청춘들이 모인 학교가 분주한 것은 당연하지만, 이맘때 학교가 분주한 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청춘과 열정을 불태우기 때문만은 아닌 듯하다.
가정의 달이라고도 하는 5월은 무슨 날인지 잘 알지도 못하는 수많은 기념일로 가득하다. 5월 1일 근로자의 날을 시작으로, 5월 5일 어린이날, 5월 8일 어버이날, 5월 10일 유권자의 날(바다식목일), 5월 11일 입양의 날(동학농민혁명 기념일), 5월 12일 국제 간호사의 날, 5월 14일 식품 안전의 날, 5월 15일 스승의 날, 5월 18일 민주화운동 기념일, 5월 19일 발명의 날, 5월 20일 세계인의 날, 5월 21일 부부의 날, 5월 25일 방재의 날, 5월 31일 바다의 날(세계 금연의 날) 그리고 여기에 더해 성년의 날인 5월 셋째 월요일과 부처님 오신 날인 음력 4월 8일까지 합하면 5월은 기념일로 똘똘 뭉친 달이 된다.
이런 5월의 기념일 중에서 학생들을 들뜨게 만드는 날은 분명 휴일인 빨간 날이지만, 학교를 분주하게 만드는 날은 단연 스승의 날일 것이다. 학과 교수님 또는 지금 수강하는 강의를 담당하시는 교수님 아니면 이전에 강의를 수강했던 교수님을 찾아 꽃 한 송이를 드리고 노래 한 곡을 불러 드린다. 그러느라 5월의 학교는 참 분주하고 또 그래서인지 학생들에게 별 인기도 없는 나조차도 이즈음 강의실에 들어가거나 연구실에 있으면 찾아오는 학생들을 심심찮게 만난다. 그런데 평소 찾아오는 학생이 없어서인지 학생을 만나면 그저 반갑다는 생각이 먼저 들지만, 스승의 날이라고 불쑥 찾아오는 학생들을 만나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그 생각은 대체로 ‘반갑다’, ‘고맙다’에서 시작해서 ‘내가 정말 찾아와 인사하고 싶은 스승인가’, ‘스승의 날이면 기억나는 스승인가’하는 의문으로 끝을 맺는다.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는 불교의 중을 ‘스승’이라고 했는데, 스승은 ‘ᄉᆞ승(師僧)’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이 말은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쓰인 말로, 중을 존경하여 부를 때 ‘ᄉᆞ승’이라고 했던 것이 변해서 된 것이라고 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스승을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으로, 사부와 같은 의미라고 했다. 이렇게 보면 ‘스승’이란 이전부터 상대를 존경하고 높여 부르는 호칭으로, 단순히 ‘지식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란 뜻을 넘어 ‘삶의 지혜까지 가르치는 정신적인 선생님’을 가리키는 것이다. 스승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되새겨보면 일어나는 고민이 끝이 없다. 내가 삶의 지혜를 가르치고 있는가, 내게 남을 가르칠 지혜가 있는가, 아니 그 이전에 제대로 된 지식을 가르치고 있는가, 가르칠 지식이 있기는 한가.
이런 고민은 이전부터 지금까지 스승의 위치에 놓인 누구나 가졌던 것 같다. 고려와 조선 두 왕조를 떠받든 수많은 제자들을 길러낸 이색조차 스스로를 얕은 학문으로 감히 스승의 자리에 올랐다고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이색은 스스로를 책망하고 꾸짖는 말을 자리 옆에 새겨서 언제나 자신을 살피는 요점으로 삼으려고 했다. 그랬기 때문에 이색은 현재까지도 사표(師表)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이색처럼 하기는 쉽지 않다. 수양도 학식도 비교되지 않고 능력도 부족하기에 이색처럼 하기 어렵다. 그런데 고민은 그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색처럼 하지는 못하더라도 일 년의 하루, 스승의 날만이라도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날로 삼으면 어떨까. 이게 정말 스승을 위한 스승의 날이 아닐까. | 글쓴이 윤재환 :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스승의 날

법제·행정 제도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
정의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
내용
1963년 충남지역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은사의 날’을 정하고 사은행사를 개최한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다. 1964년 청소년 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J.R.C.)는 5월 26일을 ‘스승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1965년부터는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로 변경하여 각급학교 및 교직단체가 주관이 되어 행사를 실시하여왔다.
그 뒤 1973년 정부의 서정쇄신방침에 따라 사은행사를 규제하게 되어 ‘스승의 날’이 폐지되었으나, 1982년 스승을 공경하는 풍토조성을 위하여 다시 부활되었다. 이 날은 기념식에서 교육공로자에게 정부에서 포상하며 수상자에게는 국내외 산업시찰의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각급학교동창회·여성단체·사회단체가 자율적으로 사은행사를 하는데, 특히 ‘옛스승찾아뵙기운동’을 전개하여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고 사제관계를 깊게 하는 한편, 은퇴한 스승 중 병고와 생활고 등에 시달리는 이들을 찾아 위로하기도 한다.
선후배 및 재학생들은 옛 은사와 스승을 모시고 ‘은사의 밤’을 열어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며, 스승에게 카네이션을 달아 드린다. 또한, 스승의 역할에 대한 특별강연·좌담회·다과회 등도 개최한다.
스승의 날, 선생님의 날이 아닌 이유
기념일이 많은 5월입니다. 다가오는 15일은 스승의 날이기도 한데요. 그런데 '스승'이라고도 하고 선생님이라고도 하죠. 두 단어는 어떤 차이일까요. 그리고 스승의 날은 왜 5월 15일일까요?
먼저 '스승'은 순우리말 표현이고요.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선생'은 먼저 선, 날 생자를 쓰는 한자어로 사전적 의미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말하죠. 좀 더 풀이하자면 교사나 교수, 강사 같은 직업을 가리킬 때 '선생'이라 칭할 수 있고요. 또한 상대를 높여 부르는 존칭이 되기도 합니다. 반면 '스승'은 특정 직업인이라기보다는 인간의 도리나 세상의 이치를 가르치고 바르게 이끌어주는 사람을 뜻하는데요.
누군가의 저서나 행적을 통해 큰 가르침을 얻었다면 이런 경우도 스승이라 칭할 수 있습니다. 그런 만큼 스승은 학생을 가르친다는 의미의 선생님보다 좀 더 넓은, 포괄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스승'의 어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요. 의외로 고대사회에서 큰 힘을 가졌던 '여자무당'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의견과 불교의 승려를 높여 부르던 표현이라는 견해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옛 문헌에 관련 표현들은 나오지만 어원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그런가하면 스승의 날은 지난 1958년, 충남 한 학교의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스승을 위로하는 행사를 개최한 것이 계기가 됐는데요.
첫 기념일은 '세계적십자의 날'인 5월 8일이었습니다. 이후 날짜 변경과 '은사의 날'이라는 명칭을 거쳐, 1964년 '스승의 날'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는데요. 당시 기념일은 5월 26일이었습니다. 그러다 이듬해인 1965년 지금의 5월 15일로 날짜를 변경하는데요.
이날은 바로 우리 역사 속 큰 스승으로 불리는 세종대왕의 탄신일입니다. 우리나라 문화와 교육발전에 남긴 업적을 기려 스승의 날로 정했다고 하고요. 이후 스승의 날은 촌지 등의 폐해를 막기 위해 10년 가까이 폐지됐다가 1982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돼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5월 15일이 스승의 날이 되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스승은 단순한 지식을 넘어 삶의 지혜까지 가르치는 분입니다. 이제 줄을 지어 꽃을 선물하던 풍경은 사라졌지만 내 마음의 스승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감사와 안부를 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스승의 날이 5월 15일인 까닭은?
오늘은 스승의 날! 세종대왕의 탄신일 5월 15일이 스승의 날로 자리 잡은 사연을 아시는지요? 우리나라의 ‘스승의 날’은 교사들이 권익 차원에서 만든 다른 나라의 ‘교사의 날’과는 달리, 학생들이 뜻을 모아 만든 날입니다.
이 고결한 날은 1961년 충남 논산의 강경여중고(지금의 강경고) 청소년적십자단(JRC. 현 RCY)의 윤석란 학생이 병석에 누워있는 은사를 돌보다가 단체 회원들에게 퇴직한 스승들을 모시자고 제안한 것에서 출발합니다. 갸륵한 뜻은 충남 여러 학교로 번졌고, 63년에는 충남 JRC 전체가 ‘은사의 날’ 행사를 벌입니다. 움직임은 전국으로 확대돼, 1965년 JRC 중앙학생협의회가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의 양력 탄신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습니다. 전국의 JRC 회원들이 ‘스승의 날’ 아침 일찍 교문 앞에서 교사들에게 “선생님,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장미꽃을 꽂아드리자 스승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스승의 날을 만드는 데 앞장 선 윤석란은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芬道) 수녀회의 수녀(세례명 파트리시아)가 돼 묵묵히 인간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고 합니다. 베네딕도 수녀회는 사랑과 감사의 시인 이해인 수녀가 속한 그 수녀회이죠?
1960년대에 학생들이 세종대왕 탄신일을 ‘스승의 날’로 정한 것이 가슴을 울립니다. 세종대왕은 “할 말이 있어도 제 뜻을 펼치지 못하는 백성들을 측은히 여겨” 한글을 창제한 큰스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의 교육철학은 하나밖에 남아있지 않는 친필에 오롯이 남아있습니다. 세종이 효정공(孝靖公) 이정간에게 하사한 ‘가전충효, 세수인경(家傳忠孝, 世守仁敬)’이란 어필입니다. 효정공은 강원도 관찰사로 재임하다 100세의 노모를 모시기 위해 사직한 뒤, 자신도 80세의 노령이면서 어머니 앞에서 색동 옷을 입고 재롱을 피웠습니다. 세종은 그 소식을 듣고 “가문에 충성과 효심을 전하고, 대를 이어 인과 경을 지켜라”는 어필을 내렸고, 전의·예안 이씨의 가훈이 됩니다.
인(仁)은 ‘어질다’라고 알려져 있는, 유교사상의 근본인데, 《논어》 전체를 보면 무조건적인 사랑보다는 ‘(사람 본성에 바탕한) 반듯한 사랑’에 가깝습니다. 경(敬)은 선비들이 수양할 때 근본으로 삼는 것으로 경건함, 공경함, 진지함 등을 뜻합니다. 인경은 “사랑을 베풀고, 겸허하면서 다른 사람을 존중하라”는 뜻에 가깝지요? 어떤가요? 1960년대에 스승의 날을 만든 학생들의 고결한 뜻과 맞닿아 있지 않은가요?
오늘은 사랑과 존경을 가슴에 두고 스승을 생각하는 하루가 되기를 빕니다. 왜 유교에서 인(仁)을 의, 예, 지보다 앞에 뒀을까요? ‘사랑의 마음’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 아닐까요? 그 마음으로 스승에게 전화 한 통 드릴 수 있는 시간 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 잊혀져가는 스승의 날에. [이성주의 건강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