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성조(聲調)

category 飜譯通---中語工夫 2023. 12. 13. 19:33
반응형

성조(聲調)

 

오늘은 중국어(中國語)에 필수인 성조(聲調)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어도 한글과 마찬가지로 순한 소리, 된 소리, 거센소리 등이 있다. 특히 중국의 성조(聲調)는 악센트가 중요(重要)한바 어감(語感)에 따라 성조가 바뀐다. 이 점에 유의(留意)하시길 바란다.

 

1. 성조(聲調): 중국어는 글자만을 보고는 그 발음(發音)을 알 수 없다. 중국어의 발음(發音)은 병음(拼音)으로 표기(标记)된다. 중국어는 한자의 발음을 라틴자모(拉丁字母)로 음을 달고 그 위에 성조표시(声调表示)를 덧붙인다.

성조(聲調)란 소리의 고저(高低)를 말한다. 중국어는 단어의 각 음절(音節)에 성조가 있다. 중국어에는 4개의 성조(聲調)가 있는데 각각 -(제1성), /(제2성), V(제3성), \(제4성)과 같은 성조 부호(符號)로 나타내며 병음(倂音) 위에 표시한다.(본인편성)

 

※ 참고(參考)로 조선 초(朝鮮初)의 어학 연구(語學硏究)는 주로 중국어에 대한 것이었다. 세종(世宗) 임금은 우리말 역사에 세 가지 중요한 어학 연구 업적(業績)을 남긴 바 있다.

 

1. 훈민정음 창제,

2. 우리나라에서 쓰던 한자음(漢字音)을 정리한 <동국정운(東國正韻)>편찬,

3. 중국의 표준음(標準音)을 제시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과 <사성통고(四聲通考)> 편찬사업(編纂事業)이 그것이다. 이런 연구 사업은 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서로 관련(關聯)되는 학문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세종대왕(世宗大王)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한 후에 중국어와 통하도록 <홍무정운(洪武正韻)>을 번역(飜譯)하게 했다는 것을 보면 운서 간행(韻書刊行)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創製)와 관련이 있다.

중국 운서(中國韻書)에 대한 연구는 새 글자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동국정운(東國正韻)> 23자모 체계에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자음 체계가 반영(反映)되어 있다. 그런데 <동국정운(東國正韻)>의 초성 체계는 중국 운학의 자모 체계(字母體系)를 변경, 발전(變更發展)시킨 것이므로 결국 중국 운학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에 영향(影響)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현전 삭사(集賢殿削仕)들은 소리를 내는 자리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누고 다시 그것을 청탁(淸濁)으로 나누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제자해(制字解)"에서 초성(初聲)을 분류(分類)한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 반설음(半舌音), 반치음(半齒音)과 전청(全淸), 차청(次淸), 전탁(全濁), 불청불탁(不淸不濁)이라는 용어(用語)가 중국 운서의 용어와 같음이 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운학(中國韻學)을 우리말에 적용(適用)하면서, 한 한자의 음(音을) 자모(字母)와 운모(韻母)의 두 조각으로 나눔이 옳지 않음을 깨달아 세 조각(초성_중성_종성)으로 나누는 새로운 이론(理論)을 세우고 이에 따라 글자를 창제(創製)하였다.

반응형

'飜譯通---中語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자 ․ 속 자 일 람 표  (2) 2023.12.14
한자의 부수 214자  (0) 2023.12.14
중국어의 문장성분(中國語文章成分)  (0) 2023.12.13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  (0) 2023.12.12
중국어는 암기가 중요  (0)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