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정력제인 독계산(禿鷄散) 처방약재와 복용법
'독계산(禿鷄散)'이란 정력 비방약(精力祕方藥)이 있다. 그런데 이 약의 이름이 붙여진 내력을 보면 흥미롭다. 옛날 중국 촉(蜀)나라의 태수 여경대(呂敬大)란 사람이 나이 70살이 넘어서도 아들을 셋이나 볼 정도로 정력이 넘쳤다.
이 사람은 넘치는 정력을 주체 못해 부인(夫人)을 계속 괴롭혔는데, 이것을 이겨 내지 못한 부인이 앓아눕게 되었다. 그러자 그는 자신이 평소 먹던 약을 마당에 버렸다. 이것을 수탉이 쪼아 먹고 암탉의 등에 올라앉아 내려올 줄 모른 채 암탉의 벼리를 쪼아 댔다.
마침내 암탉의 벼리가 다 벗겨지고 말았는데, 세상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약의 이름을 '독계산'이라 하였다. 그후 '독계산'은 사람들 사이에서 최고의 정력제(精力劑)로 인식되었다.
처방약재의 약성
사상자(蛇床子) 30g / 육종용(肉蓯蓉) 20g / 오미자(五味子) 20g / 토사자(兔絲子) 20g / 원지(遠志) 20g /
이 약에 들어가는 약재는 육종용 등 5가지이다. 이들 약재를 법제(法製)하여 약성만을 추출한 후 환약(丸藥)을 만들어 매일 식전마다 약술과 함께 복용(服用)하는데, 60일 정도 복용하면 쇠약해진 정력을 회복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독계산'의 주장약(主將藥)인 육종용은 오리나무뿌리에 기생(寄生)하는 풀로서, 일설에 의하면 말이 교미(交尾)하다 정액이 떨어진 자리에서만 자란다고 한다. 모양이 마치 남자의 성기처럼 생겼는데, 모양뿐만 아니라 끈적거림이나 냄새도 '남성'과 흡사하다.
생긴 그대로 예전부터 신장(腎臟)의 양기가 허약해 생기는 발기부전(勃起不全), 정액이 새어 나오는 증세, 조루증(早漏症), 불임증, 여성 냉대하의 특효약(特效藥)으로 써 왔다.
이런 점을 감안해 본다면 '독계산'은 최고의 정력제로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육종용 등 '독계산'에 쓰이는 약재는 그 약성으로 보아 심장의 원기(元氣)를 불어 넣어주어 '남성'을 장대해지게 하고, 심장과 신장에 두루 힘을 북돋아 주어 발기를 지속되게 해 주는 효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독계산'은 힘없는 남성과 불감증(不感症)에 시달리는 여성이라면 한 번쯤 시도해 볼 만한 약이라 하겠다.
증상별 가미법
덧붙여서 더욱 큰 효과를 거두고자 원한다면, 구체적인 증상별(症狀別)로 몇 가지 약재를 '독계산'에 가미하여 쓰면 좋다. 이들 약재도 예전부터 각종 정력 비방의 묘약(妙藥)으로 쓰던 것으로, 가미법(加味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발기부전과 불감증이 심하다면 하복부를 덥혀줄 수 있는 백자인(栢子仁)을 가미하고, 조루증(早漏症)과 요실금(尿失禁)까지 있다면 여기에다 차전자와 산속단(山續斷)을 더해 주면 된다.
특히 불감증(不感症)에는 숙지황(熟地黃) · 파극천(巴戟天) · 산마(=산약) · 산수유만으로 환약을 만들어 먹어도 효과가 있다. 또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건망증(健忘症)이 심하며 성욕이 발동하지 않는 증상에는 산수유 · 숙지황 · 방풍(防風) · 우슬(牛膝) · 두충(杜沖) · 산약(山藥)을 가미하고, 낭습(囊湿)이 심하고 소변이 시원치 않으면 하복부의 기혈순환(氣血循環)을 원활히 해주는 속단과 두충을 가미한다.
그리고 소화력(消化力)이 떨어지고, 빈혈과 흥분 상실감(喪失感)이 있다면 숙지황과 백출(白朮)을 가미하고, 갱년기(更年期) 증상과 함께 고혈압이 있다면 삼지구엽초를 끓여 겸복(兼服)하면 좋다. 참고로 백출은 비위(脾胃)를 보해주는 대표적인 약재로 쌀뜨물에 담갔다가 사용해야 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이 풀을 뜯어먹은 수컷양이 절륜(絶倫)의 정력을 과시했다 하여 '음양곽'이라고 이름이 붙여질 만큼 뛰어난 정력제이다. 허리 굽은 노인도 음양곽(淫羊藿)을 먹으면 원기 왕성(元氣旺盛)하여 지팡이를 집어 던진다 하여 예전부터 '기장초(棄杖草)'라고 불리기도 했다. 10분 이상 끓이면 약성분이 파괴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정액이 저절로 새는 게 심하면 신장의 기운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구기자(枸杞子) · 복분자(覆盆子) · 차전자(車前子)를 가미하고, 정액의 분비량이 적을 경우엔 산약을 가미한다. 산약은 전분 · 사포닌 · 비타민이 풍부해 콩팥의 기능을 활발히 해 주고, 생식기능(生殖機能)을 원활하게 해 주는 약성을 지니고 있어 정액 생산(精液生産)에 효과적이다. 단 재배한 산약은 효과가 없으므로 반드시 자연산(自然産) 산약을 써야 한다.
이밖에 지나친 성교로 정액이 고갈(枯渴)되고 전신이 쇠약해졌을 때는 산약과 함께 하수오와 구기자까지 가미하고, 머리가 하얗게 세면서 원기가 떨어질 경우엔 하수오(何首烏)를 가미하면 된다. 하수오는 쌀뜨물에 하루밤 담가두었다가 껍질을 긁어 버리고, 다시 검은 콩즙에 담갔다가 써야 한다.
한편 '독계산' 복용을 위해 약주(藥酒)가 필요한데, 약술을 만드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자신의 증상에 맞는 약재(藥材)를 선택한 후 꿀 · 엿 · 흑설탕 등을 가미(加味)하여 소주에 담가 3개월 이상 숙성시키면 된다. 이렇게 만든 약술 역시 정력주로서 효과가 탁월하다. | 인터넷정보 참조
'保管室---綜合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과 질병, 그리고 단주법(斷酒法) (0) | 2024.01.20 |
---|---|
구기자는 예로부터 무병장수를 돕는 약재로 유명하다. (2) | 2024.01.19 |
산수유(山茱萸) (2) | 2024.01.17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대시 100선 모음 詩 (2) | 2024.01.15 |
말재주를 어디에다 쓰겠는가? (2)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