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겨울의 '집시여인'
∥편집자 주:
욕설(辱說)과 외계어(外界語)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慰勞)를 받는 행복(幸福)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집시 집시 집시 집시 여인/끝이 없는 방랑(放浪)을 하는/밤에는 별 따라 낮에는 꽃 따라 외로운 집시여인” 록밴드 '이치현(李治賢)과 벗님들'이 부른 ‘집시여인’이다. 1989학년도 대학 입학 학력고사(大學入學學力考査)가 치러진 88년 12월 16일 저녁, 대학 주변(大學周邊)의 거리엔 이 노래가 흘러넘쳤다. 예비고사(豫備考査), 학력고사, 수능(修能)을 통틀어 역대 가장 추웠던 시험일로 기록된 이날 최저 기온은 영하 12.2도. 시골뜨기인 나에게 도시의 한파(寒波)는 몸과 정신을 움츠러들게 했다.
그날 시험을 마친 후 대학(당시 선지원 후시험이었음) 교문(校門)을 나설 때 마음이 몹시 무거웠다. 2교시 수학 때문이었다. 때마침 대학 앞 신문 가판대(新聞架板臺)에서 본 동아일보(東亞日報; 당시 석간) 1면 기사가 큰 위안이 됐다. “현직 수학 교사(現職修學敎師)들도 제한 시간 내에 풀 수 없는 문제”라는 학력고사 분석 기사(分析記事)였다.
입시만큼 매섭고 독한 제도(制度)가 있을까. 시험(試驗) 날 딱 하루에 너무나도 많은 것이 달려 있다. 수험생(受驗生)은 물론 자식을 뒷바라지해온 부모들의 애간장이 마르고 타고 녹는 이유(理由)다. 오죽하면 이날만큼은 세상에 수험생과 사람 두 종류(種類)만 존재한다는 우스개까지 생겼을까.
오늘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大學修學能力試驗日)이다. 응시자(應試者)는 50만4,588명. 1996학년도 이후 28년 만에 가장 치열한 경쟁(競爭)이 예상된다고 한다. 특히 수험생 중 5분의 1가량이 대학에 다니다가 다시 시험을 치르는 ‘반수생(半修生)’이란다. 막상 입학은 했는데 공부를 해 보니 적성(適性)에 안 맞아 고민했던 학생들일 게다. 모든 수험생이 길고 힘들었던 입시 생활(入試生活)의 마침표를 잘 찍길 바란다.
그런데 수능과 관련해 ‘킬러문항’은 들을 때마다 영 껄끄럽다. 영어 킬러(killer)에 한자 문항(問項)을 더한 야릇한 용어다. 시험의 변별력(辨別力)을 높이기 위해 점수를 깎는 의도로 출제한 문제를 가리킨다. 굳이 영어를 쓸 이유가 있을까. 초고난도(超高難度) 문항이나 핵심(核心) 문항 등으로 표현해도 충분(充分)하다.
난도(難度)와 난이도(難易度)도 잘 구분해 써야 한다. ‘난도(難度)’는 어려운 정도를 뜻한다. 따라서 난도는 높다, 혹은 낮다로 표현해야 한다. ‘불수능’은 난도가 아주 높은 수능을, ‘물수능’은 난도가 너무 낮은 수능을 비난하는 말이다. ‘난이도(難易度)’는 어렵고 쉬운 정도로, ‘조절하다’, ‘고려하다’ 등의 동사(動詞)와 어울린다.
50여 년 살아본 결과 긍정적인 생각이 성공(成功)을 불러온다는 것을 깨달았다. 무슨 일이든 믿는 만큼 이뤄진다. 미국의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목사 조엘 오스틴도 '긍정의 힘'에서 긍정적(肯定的)인 사고의 원천(源泉)은 믿음이라고 강조(强調)했다. 수험생 여러분, 자신을 믿고 시험 잘 치르시라. | 노경아 교열팀장
'保管室---綜合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무리 (2) | 2023.12.30 |
---|---|
인각사(麟角寺) 일연 비석(一然碑石) 수난기(受難記) (4) | 2023.12.29 |
언어생활(言語生活)과 규범(規範) (0) | 2023.12.28 |
유엔은 왜 영양곡물에 관심을 가질까? (2) | 2023.12.27 |
떠오르는 짧은 생각 (2) | 2023.12.27 |